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OS

(30)
virsh VM 이미지 기동되지 않을 때 물리 서버 재기동 후 virt-manager 에서 VM 을 기동하려고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된다. 아마 설치시 사용한 iso 파일을 찾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럴경우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서버에서 virsh 명령어로 해당 VM의 설정을 xml 타입으로 출력한다. virsh dumpxml VM이미지명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아래로 내리다 보면 에러가 발생하는 부분의 ISO (Disk) 가 설정된 부분이 나온다. 해당부분의 내용을 수정하여 disk가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로 변경한다. virt-xml VM이미지명 --edit target=위에서 확인한 target dev 이름 --disk path= 이후 virt-manager 에서 해당 VM을 기동하면 running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Windows 환경에서 .pem 파일 접속시 권한에러 정상적으로 접속되던 .pem 파일에서 갑자기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처 방안에 대한 포스팅이다. cmd 를 통해서 sftp 로 접속하려는데 못보던 에러가 발생한다. Bad permissions. Try removing permissions for user: \\Everyone 이라는 에러 메세지가 출력되며 접속되지 않는다. icacls.exe .\damo_ssh.pem /reset 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권한을 초기화 하였으며 해당 명령어 수행후에 하기와 같이 정상적으로 접속됨을 확인하였다.
Openstack 인스턴스 생성 앞선 포스트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가지고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openstack dashboard 에서 인스턴스를 선택한 후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한다. 이름은 구분할 수 있는 이름을 넣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생성할 인스턴스의 볼륨을 설정한 후 이미지는 앞서 만든 ubuntu 이미지를 사용한다. 생성할 인스턴스의 사이즈를 설정한다. flavor 에 아무런 항목이 없다면 관리자 dashboard 에서 flavor를 생성한다. 이후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여 인스턴스 생성을 완료한다.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상태가 Running으로 변경된다. 외부(PC 환경)에서 해당 인스턴스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openstack dashboard 에서 floating ip를 해당 인스턴스에 할당하여야 한다. op..
Openstack 이미지 생성 필요한 OS 이미지는 각 OS 공급 업체 혹은 공급 사이트에서 다운이 가능하다. ubuntu 이미지 다운로드 - Ubuntu Cloud Images - the official Ubuntu images for public clouds, Openstack, KVM and LXD Ubuntu Cloud Images - the official Ubuntu images for public clouds, Openstack, KVM and LXD Google Cloud Platform lets you build and host applications and websites, store data, and analyze data on Google’s scalable infrastructure. cloud-images.u..
Redhat Openstack Platform 올인원 설치 - 1 사전 요구사항 OS : Redhat Enterprise Linux 9.0 이상 설치 Network : 외부와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외부연결 필수), 내부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총 두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두개의 네트워크 대역대는 달라야 하는 것으로 보임. 서버 스펙 : CPU 4 이상, RAM 8GB 이상, Disk 30GB 이상 Network 예제 - 기본 네트워크 192.168.200.0/24 에 할당된 인터페이스 eno1 은 일반 연결을 위해 사용. 외부 인터넷 엑세스가 가능해야 함. - 관리 네트워크 192.168.100.0/24 에 할당된 인터페이스 eno2 는 Openstack 서비스에 사용됨. Allinone 설치를 위해서는 subscription이 필요함...
Redhat 8 linux Disk 사이즈 조정 OS를 기본설치로 진행하고 보니 디스크 용량이 내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있다. / 경로에 대부분의 디스크가 할당되어야 하는데 /home 경로의 디스크에 대부분이 할당되어있다. 물리적 디스크 2개를 묶어서 1.8 T 가량 되는데 이 설정을 변경하고자한다. 먼저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home 디렉토리를 언마운트 한다. /home 관련 lvm 을 lvremove 명령어로 삭제한다. lvextend 명령어로 남은 용량만큼 lvm 을 확장한다. lvm 은 정상적으로 확장되었으나 아직 디스크가 늘어난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xfs_growfs 명령어를 이용하여 변경된 사이즈를 인식시킨다.
Redhat Linux 가상화 - 2 리눅스 가상화 OS를 생성하는 것을 cockpit GUI 웹 콘솔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웹콘솔에 로그인 한 후 가상머신 탭으로 이동한다. 가상머신 만들기를 선택한다. 필요한 정보를 기입한 후 생성과 실행을 클릭한다. 생성된 가상머신에 ssh 로 접속하기 위해 libvirt-nss 모듈을 설치한다. yum install libvirt-nss /etc/nsswitch.conf 파일을 편집한다. hosts 에 libvirt_guest 를 추가한다. host 서버에 bridge 인터페이스 추가 nmcli connection add type bridge con-name bridge0 ifname bridge0 생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nmcli device status lsmod 명령어를 이용하여 본딩이 ..
Redhat Linux 가상화 - 1 가상화 모듈 패키지 설치 yum module install virt virt 모듈 설치 yum install virt-install virt-viewer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rt libvirtd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 virt-host-validate GUI 관리를 위해 웹콘솔 설치 yum install cockpit cockpit 서비스 활성화 systemctl enable --now cockpit.socket 방화벽에 cockpit 등록 및 방화벽 재로드 firewall-cmd --add-service=cockpit --permanent firewall-cmd --reload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 https:서버아이피주소:9090 url 로 접속하여 확인 서버 사용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