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LL 서버는 iDRAC 이란 것으로 서버 설치를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초기 장비 부팅 후 KVM을 통해서 iDRAC IP 를 설정 후 iDRAC 포트에 랜선을 연결해서 통신이 되면,
아래와 같이 웹 콘솔로 접속하여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iDRAC 콘솔에서 Viertual Console 을 실행하면 내 PC의 모니터가 KVM에 연결된것 처럼 사용 할 수있다.
iDRAC 콘솔을 통해 내 PC에 있는 iso 이미지를 마운트 하고 이를 통해 Redhat Linux 를 설치하고자한다.
언어 설정 후 다음 설치환경 설정으로 넘어간다.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한다.
네트워크는 현재 eno1 포트에만 실제 물리포트를 물려놓았기 때문에 해당 포트만 ON 하고 아이피를 할당한다.
다음 설치 파티션 설정을 한다.
기본으로는 /home 에 많은 용량을 할당하도록 설정되어있는데 home에 큰 용량을 할당할 필요는 없으므로 해당 용량을 10GB 정도로 줄이고 / 에 많은 용량을 할당하도록 수정한다.
다음으로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아래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begin installation 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는 시간이 소요되며 완료되면 하단의 reboot system 버튼이 활성화 되고 해당 버튼 클릭하여 재시작하면 된다.
반응형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hat Linux 가상화 - 2 (0) | 2023.07.27 |
---|---|
Redhat Linux 가상화 - 1 (0) | 2023.07.27 |
Rocky OS 8 - Packstack 설치 (0) | 2023.07.20 |
Ubuntu 22.04 Openstack 설치 w.Openstack docs - Horizon (0) | 2023.07.20 |
Ubuntu 22.04 Openstack 설치 w.Openstack docs - neutron(linux-bridge) (0) | 2023.07.20 |